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두바이] 두바이 및 북부 에미리트 동향('25.07.18.-24.)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7-29
조회수
117

(정보제공 : 주두바이총영사관)



두바이 및 북부 에미리트 경제 동향('25.07.18.-24.)




ㅇ UAE, 2분기 GCC 지역 프로젝트 마켓 주도


  - UAE는 2025년도 2분기 140억 미불 규모의 계약 수주를 기록한바, 이는 GCC 전체 계약 수주액 284억 미불의 49.2%를 차지하였으며 GCC 지역 1위 달성(사우디는 동 기간 전년 355억 미불 대비 올해 98억 미불로 72.5% 대폭 감소)


  - 2025년 상반기 UAE의 계약 수주액은 444억 미불로 작년 대비 12.1% 감소(특히 건설 부문이 △61.6%로 큰 감소폭)했지만, 가스 부문에서 ADNOC Gas와 독일 SEFE의 4억 미불 LNG 공급 계약, Rich Gas Development Scheme의 첫 번째 공사(28억 미불 규모) 등의 주요 프로젝트가 전체의 37.6%(53억 미불)를 차지하면서 여전히 견고함을 유지


ㅇ 중동 국부펀드,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목적 포트폴리오 및 전략 재조정


  - 인베스코(Invesco)의 '글로벌 국부자산 운용 연구(Global Sovereign Asset Management Study)' 제하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정학적 긴장(84%), 중동 분쟁에 따른 여파(68%)가 중동지역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에 인식된 단기적인 최대 리스크


  - 응답자의 96%는 지정학적 경쟁이 향후 변동성의 핵임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고 91%는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선진국의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고착화할 것으로 전망하였며, 특히 중동 국부펀드의 52%는 탈세계화(deglobalisation)를 투자 수익률에 실질적인 위협으로 보고 있어 뚜렷한 시장 내 인식의 전환 반영


  - 동 보고서는 지정학적 리스크, 고금리, 탈세계화, 인플레이션 등의 복합 요인이 국부펀드의 투자 방식, 자산 배분, 리스크 관리 전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어, 중동 국부펀드는 이에 따라 액티브 전략, 사모 신용, 채권, 중국 기술 부문 등으로 전략을 전환 중이라고 평가


ㅇ 두바이수전력청(DEWA), S&P 플랫츠 어워드 수상


  - 두바이 태양광 발전소(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Solar Park)가 2024 S&P 글로벌 플랫츠 에너지 어워드(에너지 인프라 어워드)를 수상하며 MENA 지역 최초로 세계 최고 수준 태양광 발전소로 인정


  - 동 발전소의 Phase IV는 기네스 기록을 세운 바 있고, CSP, PV, 에너지 저장 기술이 통합된 구조에 대해 혁신적 평가 거양


  - DEWA CEO는 금번 어워드 수상이 두바이와 UAE의 청정 에너지, 인프라 혁신 전략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고 강조


ㅇ 인간-기계협력(HMC) 창작물 기여도 관련 아이콘 사용


  - 함단 부총리가 지난주 승인한 HMC(Human-Machine Collaboration) 아이콘의 사용은 정부기관 및 동 기관 협력 업체, 정부기관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의무이며, 그외에는 권장사항


  - 동 아이콘의 사용으로 AI로 만든 보고서와 창작물에서 어느 정도 인간이 기여하는지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ㅇ UAE 고액투자자들 글로벌 친환경 투자 트렌드에서 선도적 역할


  - SC 은행이 최근 발표한 '2025 지속가능한 뱅킹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가능, 전환투자 동향을 조사한 8개 국가(홍콩, 중국, 인도, 한국, 타이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중 UAE 고액 자산가(HNW) 투자자들의 탄소 저감과 지속 가능 투자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바, UAE 투자자들이 글로벌 친환경 투자 트렌드를 선도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


ㅇ 두바이, 금의 토큰화 통한 디지털 자산화 주도


  - 두바이 가상자산규제청(VARA)은 캐나다 기반 AuCan Gold사와 두바이에 본사를 둔 국제 가상자산 협회 더 블록(The Block) 간 세계 최대 규모 캐나다-두바이 합작 '금 토큰 생태계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라고 언급


  - 금의 토큰화는 전통적 금 투자 대비 접근성, 안전성, 유동성을 높여 인플레 압력, 지정학적 리스트, 변동성 높은 주식시장 속에서 구매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자산을 찾는 투자자들에게 금투자를 디지털 시대에 맞는 형태로 만들어주는바, 이러한 노력으로 두바이는 디지털 금 거래의 선도 도시로 도약하게 될 것으로 기대.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