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해외언론

주우루과이대사, 주재국 언론(Radio Fenix) 인터뷰

부서명
주우루과이동방공화국대한민국대사관
작성자
노원일 주우루과이대사
작성일
2025-07-30
조회수
71

□ 매체 및 보도일자 Radio Fenix (7.8)

 

□ 주요내용


ㅇ 노 대사는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와 근현대사를 소개하며, 한국을 '우루과이의 정반대편에 위치한 가장 먼 나라이자, 지난 60년간 우정을 이어온 파트너'로 설명함.


- 한국전쟁 당시 우루과이가 전달한 담요 7만 장의 사례를 언급하며, 양국관계의 역사적 출발점을 강조


- 한강의 기적, 민주화, 경제성장 등 한국의 주요 발전사와 함께, 2024년 기준 1인당 GDP 및 수출 주력 산업을 소개하고, 삼성, LG, 현대 등 대표 브랜드의 글로벌 입지를 설명


ㅇ 한국문화 콘텐츠 관련 질문에서는 '기생충', '오징어 게임', '강남스타일' 등 대중적 사례를 중심으로 K-콘텐츠의 특징과 확산 배경을 설명함.


- 사회적 불평등, 물질주의 등 보편 주제를 다룬 서사 구조, 독창적 연출, K-pop의 글로벌 기획-생산-마케팅 시스템, 팬과의 실시간 소통 등을 주요 성공 요인으로 제시


- 인터뷰 중 진행자들이 한국 콘텐츠 시청 경험을 언급하며 공감을 표했고, 대사는 한국 콘텐츠의 사회적 파급력과 지속적인 소비 경향에 대해 소개


ㅇ 한-우루과이 양국 간 협력 분야로는 정치, 경제, 문화 등 전방위적 사례를 폭넓게 소개함.


- (정치) 북한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국제 공조, 고위급 교류 지속, 한국의 국방산업 경쟁력 홍보


- (경제) 연간 교역 규모(2024년 3.5억불), 산업별 수출입 품목, 현대건설의 발전소 건설 사례, 그린수소, 바이오기술 등 신산업 협력 확대, 한-MERCOSUR FTA 협상 진전 필요성 강조


- (문화) K-pop, 영화, 드라마 외에도 K-food, K-classic, K-literature 등 다양한 문화 확산 의지 표명


ㅇ 문화행사 관련해서는 작년 해군 함정 기증식을 대표적 사례로 언급하며, 올해 추진 중인 주요 프로그램으로 대사배 태권도 대회, K-pop 월드페스티벌, K-pop 댄스 클래스, 한-멕시코-튀르키예 MIKTA 합동 시식행사, 국경일 리셉션, 서예 클래스 등을 소개하였음.


ㅇ 방송 콘텐츠 유통과 관련해, 넷플릭스 등 OTT 외에도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을 통한 한국문화 전파가 효과적이라고 강조하며, 우루과이 현지 방송 채널과의 연계 가능성을 제시함.


-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접근 경로 다변화 필요


ㅇ 노 대사는 인터뷰 후반부에서는 우루과이 도착 이후 느낀 인상(친절하고 정직하며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람들, 소박하지만 세련된 디자인과 건축)과 마떼 시음 경험을 공유하며 현지문화에 대한 관심과 개인적 소감을 덧붙임.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